본문 바로가기

부자되기

금융문맹이 가득한 나라 대한민국 by 놀부

반응형

 

<금융문맹>

"대한민국 성인 92.4%는 금융문맹"

대한민국 성인 중 92.4%는 금융교육 경험이 없고

 

금융이해력을 갖춘 비율도 단 33%이라고 합니다.

 

 

 

저 또한 금융문맹으로 살아왔던 것 같습니다.

 

어린 시절 돈에 대해 관심을 가지기라도 하면...

'돈이나 밝히는 아이..'라는

따가운 시선을 받았았었고

돈을 버는 방법

돈을 쓰는 방법

버는 교육, 쓰는 교육

제대로 받아 본 적이 없었던 것 같습니다.

 

 

숫자에는 눈이 밝았지만,

수학은 우등생이었지만,

돈을 융통하는 것에는

문외한인 것이 당연한 것으로 여기며

지냈던 것 같습니다.

 

© bermixstudio, 출처 Unsplash

 

 

 


<금융문맹, 무너진 성벽을 지키는 선주>

금융문맹인 사람은
자산을 지키고 늘리는 데에 있어
무너진 성벽을 지키는 선주와 같은 신세다.

 

뒤늦게 돈에 대한 공부를 해보겠다고

여러 책을 읽던 중 기억에 남는 글귀입니다.

 

무너진 성벽을 지키는 선주

 

무너진 성벽 안에

내 소중한 돈을 모아 놓고

보호하겠다고 하는 것입니다. 

 

우리나라 대다수의 성인들이

무모하게 투자하고

돈을 날려버리는 현상들의

큰 원인 중 하나가

바로 금융문맹이 아닐까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물론,

금융지식이 부족해도

부자가 되기도 하고,

 

부자가 되고 나서야

금융지식이 늘어나기도 하겠지만,

 

금융에 대한 이해력

금융에 대한 지식은

소득을 늘리는데

재산을 지키는데

실수를 줄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여기서, 금융문맹을 테스트해 보고 싶습니다.

 

한국은행이 발간한 <경제금융용어 700선> 중

기본적인 용어를 추려 놓은 것인데,

 

80% 이상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면 "완벽"

50% ~ 80% 사이라면 "긍정적"

50% 이하라면 "공부시급"

이라고 합니다.

 

어디에 속하십니까?

 

 

갑작스러운 경제금융용어?

 

이것 알아서 부자 된다면

밤을 새워 공부해서

다 부자가 되어 있을 것입니다.

 

또한,

현재 부자에 속해 있다고

할지라도 다 알지 못할 수 있습니다.

 

 

 

부자가 되고자 목표를 정했다면

최소한의 노력은 필요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기본기를 다져야

무너진 성벽을 만들지는 않을까

생각합니다.

 

부자가 되기 위한...

부의 추월차선을 위한...

적어도 리스크를 줄이기 위한...

노력 말입니다.

 

관심 분야에 다가가려면

세운 목표에 근접하려면

기본을 알아야 하고

빠른 길이 생기고

착오도 줄이게 될 거라고 생각합니다.

 

© Simon, 출처 Pixabay

 

<무너지는 4050>

전체 가계부채의 절반 이상, 40~50대 차지
10명 중 3명은 다중채무자… 취약차주 위험
자산 90% 이상 부동산… 중장년층 위한 정책 필요


 

시간은 좀 지나긴 했습니다만

신문기사를 읽다가

눈에 들어온 글귀입니다.

 

가계부채 1,900조

가계가 진 빚이

GDP 대비 세계 1위인 나라 대한민국!

 

대한민국이 빚에 신음하고 있습니다.

 

게다가 대한민국 경제의 허리

4050이 빚에 무너지고 있다고 합니다.

 

주요국의 통화긴축, 치솟는 시장금리 등

다양한 외적요인들이 있겠지만

우리네 내적으로는 금융문맹에 의한 요인도

있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기사를 읽다 글귀 하나가 눈에 들어왔습니다.

 

 

 

"성실하게 살았지만..."

 

"주식 같은 투자는 쳐다보지도 않고..."

 

 

안정적인 수입에

안정적인 월급에

허리띠 졸라매고

아등바등 절약하며 살아가는 것

 

대한민국 금융문맹 92.4%의 삶이구나...

생각이 들었습니다.

 

"주식은 도박이다"

"창업(투자)은 위험(고통)이다"

라고 생각하는구나..

 

도박하듯 투자를 하거나

시작도 하지 않거나

위험하고 힘들기 때문에

시도하지 않거나...

 

우리네

금융문맹자에게 되묻고 싶습니다.

 

월급에만 의존하며 사는 것이

최선일까요?

 

© Rilsonav, 출처 Pixabay

 

 

반응형